이동혁 건축가 /@@3xR 건축가로서 상상하는 모든것을 설계합니다. 과거, 현재, 미래. 당신의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것들을 건축으로서 그려드립니다./ 듀밀리언(주) CEO / 건축가, 마케터, 강연 ko Fri, 18 Apr 2025 15:36:09 GMT Kakao Brunch 건축가로서 상상하는 모든것을 설계합니다. 과거, 현재, 미래. 당신의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것들을 건축으로서 그려드립니다./ 듀밀리언(주) CEO / 건축가, 마케터, 강연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vMIT_cVEBWrWMcHYn0upJlQD9A /@@3xR 100 100 제12화.&nbsp;레골리스 집짓기&ndash;Sulfur Concrete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8 2부. 무重력에서 지은 집: 구조와 형태의 반란 - 지구 밖 건축의 구조적 혁신 제12화.&nbsp;레골리스로 집짓기 &ndash; Sulfur Concrete와 Sintered Brick &ldquo;벽돌 하나를 쌓기 위해,&nbsp;우리는 암흑과 진공, 방사선과 충격 속에서&nbsp;흙이라는 존재의 정의부터 다시 써야 했다.&rdquo;&mdash; 정우, 현지 재료 기반 건축 노트 중 정우는 작업장 한복판에 두 가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cpg6GxeicRYa1QO9joSdvr14E74.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4:27:10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8 제11화. 돔, 반매립, 튜브형―중력에 맞선 세 가지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7 2부. 무重력에서 지은 집: 구조와 형태의 반란 - 지구 밖 건축의 구조적 혁신 제11화.&nbsp;돔, 반매립, 튜브형 ― 중력에 맞선 세 가지 형태 &ldquo;지구에서는 무게가 건축의 적이다.그러나 달에서는, 무게의 부재가 구조의 위기다.형태는 곧 생존의 언어다.&rdquo;&mdash; 정우, 구조체 형태 결정 전야 정우는 오늘 하루 종일 한 장의 도면 앞에서 머리를 싸맸다.단순한 평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y5iur8CjCf-X88RmLql6WJOrxE4.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4:14:58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7 제10화. 국제법과 우주 영토: 건축가는 어떤 법 위에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6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10화.&nbsp;국제법과 우주 영토: 건축가는 어떤 법 위에 서는가 &ldquo;나는 지금 벽을 세우고 있다.그런데 이 땅이 누구의 것인지,그 누구도 대답하지 않는다.&rdquo;&mdash; 정우, 일지 1148-A &ldquo;정우, 오늘자 통신 보고서 왔어.아르테미스 협정국들 간 기지 영토 중첩 문제 다시 회의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gg1HbvQnNDuMdJXD4qLfMpEWQKI.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4:01:15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6 제9화. 지연된 통신, 자립적 기지 운영 시스템 설계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5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9화. 지연된 통신, 자립적 기지 운영 시스템 설계 &ldquo;우리는 도와달라고 외칠 수 없다.구조 요청은 2.6초 뒤에야 도착하고,대답은 이미 죽은 뒤에 돌아온다.&rdquo;&mdash; 정우, 시스템 자립 설계서 초안 &ldquo;지연 확인. 왕복 통신 시간 2.58초.&rdquo;윤서의 목소리가 통제실에 울렸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NGgyFNJ3Alh0utFCKgEpXZl_F0g.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53:56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5 제8화. 29.5일의 낮과 밤, 리듬 없는 공간의조율법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4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8화. 29.5일의 낮과 밤, 리듬 없는 공간의 조율법 &ldquo;시간이 사라진 공간에서 살아간다는 것.그것은 시계를 잃는 것이 아니라, 몸의 리듬이 부서지는 일이다.&rdquo;&mdash; 정우, 심리환경설계 보고서 초안 &ldquo;정우, 외벽 온도 차가 197도야.&rdquo;윤서의 목소리는 차분했지만,&nbsp;데이터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FLv7dQOlXLdTKnRFAveJwEonEFA.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48:16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4 제7화. 태양의 그림자,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 활용전략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3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7화. 태양의 그림자, 달 남극의 영구음영지 활용전략 &quot;우주에서 어둠은 단순한 부재가 아니다.그것은 죽음이기도, 생존의 시작이기도 하다.&quot;― 탐사기록 28-C / 정우 &quot;도달지점 온도 확인, -212도입니다.&quot;정우는 숨을 죽였다.눈앞은 전부 어둠이었다.한 줄기 광선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YA4ZndDm1pRMAfPtHdBRRHX96DA.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43:26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3 제6화. 달 토양 &lsquo;레골리스&rsquo;, 설계 가능한 자원이되다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2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6화. 달 토양 &lsquo;레골리스&rsquo;, 설계 가능한 자원이되다 &ldquo;자연은 날것 그대로 위험하지만,그 안에 살아남을 재료는 있다.문제는 인간이 그것을 어떻게 &lsquo;다룰 수 있는가&rsquo;다.&rdquo;&mdash; 정우, 현지 자원 기반 건축노트 정우는 헬멧을 벗고 천천히 숨을 골랐다.기지 내부 실험실은 무균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hIoeb2l7rfzqnfzluG3PsCb18Jc.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35:35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2 제5화. 충돌하는 우주먼지: MMOD 대응 건축매커니즘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1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5화. 충돌하는 우주먼지: MMOD 대응 건축매커니즘 &ldquo;달에는 기후도, 폭풍도 없다.그러나 가장 치명적인 파편이&lsquo;공기조차 없는 어둠&rsquo; 속에서 날아든다.&rdquo;&mdash; 정우, 충격 실험 일지 정우는 오늘도 외벽을 점검 중이었다.기지의 북서쪽 돔, 표면에 무언가 미세하게 패여 있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t45fQICGvCpZXQV1VNkuMtMmLBU.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29:59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1 제4화. 우주방사선의 포격: GCR과 SPE의 공포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20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4화. 우주방사선의 포격: GCR과 SPE의 공포 &ldquo;빛조차 없는 죽음.그 어떤 창문도, 그 어떤 유리도이 광폭한 입자들 앞에선 깨진다.&rdquo;&mdash; 정우의 우주방사선 피폭 일지 정우는 실험실 깊숙한 곳, 차폐실 내부 방사선 계측 모듈 앞에 앉아 있었다.외부 탐사 중 피복 재킷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SMOzUgIt6YkKXorPYN2Y00g4o-c.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23:08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20 제3화. 진공 공간에서의 구조적 생존: 대기 없는 세계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19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3화.&nbsp;진공 공간에서의 구조적 생존: 대기 없는 세계 &quot;이곳은 침묵이 아니라, 압도적인 결핍이다.&nbsp;공기조차 없는 공간은, 벽 하나로 모든 것을 결정한다.&quot;&nbsp;― 정우의 설계노트 중 기지 외부 통로는 마치 목관처럼 좁고 길었다.정우는 장갑 낀 손으로 그 표면을 천천히 훑으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66CSZjWWnGpWARDXUKnHgFm1nuE.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17:27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9 제2화. 극한 온도차 -170℃~130℃, 재료는 살아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18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 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2화.&nbsp;극한 온도차 -170℃~130℃, 재료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 &quot;달의 가장 잔혹한 적은 움직이지 않는다.&nbsp;그것은 단순히 존재할 뿐이다. 냉기와 열기,&nbsp;모든 구조체를 안에서부터 부순다.&quot;&nbsp;&mdash; 정우의 구조체 열응력 실험 기록 중 기지 안 조명이 깜빡였다.정우는 벽면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j_Wko9C4Q0X0bnMnruVnuqmph1o.JPG" width="500" /> Fri, 18 Apr 2025 03:11:10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8 제1화. 중력 1/6의 설계법칙: 건축을 다시 정의하다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17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nbsp;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제1화.&nbsp;중력 1/6의 설계법칙: 건축을 다시 정의하다 &quot;지금 이곳에선, 벽 하나 세우는 데에도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quot;&nbsp;&mdash; 정우의 탐사일지, 제13항 새벽이었다.아니, 정확히 말하면 &lsquo;지구 기준으로 새벽&rsquo;이었다.달의 하루는 29.5일.해가 떠오르기 전, 밤은 여전히 깊<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3rdakI0d8i3D3xacJifqxqaRzfo.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13:19:16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7 프롤로그. 왜 우리는 달에 집을 짓는가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3xR/3316 프롤로그. 왜 우리는 달에 집을 짓는가 -&nbsp;왜 우리는 달에 집을 짓는가 인류는 땅 위에 살아왔다.태초에는 바위틈이었고, 그다음은 진흙과 나무였으며, 이윽고 우리는 콘크리트와 유리로 우리 자신을 감쌌다. 하지만 그 어떤 건축도, 지금 우리가 바라보는 그곳, 달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적은 없었다. 달은 아름답다. 하지만 동시에 죽음의 세계다.중력은 지구의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qCfOq47k6UMbBUSOH5nkvHppJMM.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13:10:30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6 [목차]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 우주 최전선에서 설계된 인간 생존 건축의 모든 것 /@@3xR/3315 제목 : 달에 건축으로 생존하기 프로젝트 소제목 :&nbsp;우주 최전선에서 설계된 인간 생존 건축의 모든 것 프롤로그. 왜 우리는 달에 집을 짓는가 인간의 욕망은 중력을 벗어난다 건축은 생존 그 자체다 1부. 죽음과 맞닿은 땅 위에 설계된 생존의 조건 -&nbsp;달 환경 해부와 건축의 출발점 중력 1/6의 설계법칙: 건축을 다시 정의하다 극한 온도차 -170℃~130<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kFxlDeD4oVEIg_vcgouG4Bn6kcI.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13:03:11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5 제60화. 전염병과 팬데믹 대응 건축 설계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14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60화.&nbsp;전염병과 팬데믹 대응 건축 설계 &ndash; 인간과 거리두는 공간, 생명을 지키는 구조 도시는 멈췄다.거리엔 발소리가 사라졌고, 창문 너머는 검은 플라스틱으로 덮였다.사람과 사람 사이의 &lsquo;접촉&rsquo;이 위험이 되던 시절, 건축은 다시 한번 변해야 했다. 이제 건축은 피난처를 넘어,&nbsp;&nbsp;감염을 차단하고, 생존을 유지하는 마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WVgijx1qLuuSLx2AYV7qH5-ljCk.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42:52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4 제59화.&nbsp;지하 대피소의 생체 공학적 설계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13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59화.&nbsp;지하 대피소의 생체 공학적 설계 &ndash; 땅속에서 숨 쉬는 유기체 지표면이 무너졌다.모든 통신이 끊기고, 빛은 사라졌다.하지만 그들은 무사했다. 지하 20m, 인간은 &lsquo;살기 위해&rsquo; 땅속으로 들어갔고,건축은 &lsquo;살리기 위해&rsquo; 살아 움직였다.그것은 단순한 대피소가 아닌,&nbsp;살아있는 생체공학적 시스템이었다. ? 생체공<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ZkdQynO5sTwpA2AN0Lcsaz041VU.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36:08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3 제58화. 사막과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건축 기술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12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58화.&nbsp;사막과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건축 기술 &ndash; 불가능 속에서 숨 쉬는 건축 태양은 머리 위에 직선으로 꽂히고, 모래는 살아있는 유체처럼 발끝을 삼켰다.기온은 57도, 그늘 한 점 없던 그곳에 &lsquo;기적처럼 서 있는 건축&rsquo;이 있었다. 그리고 반대편, 끝없이 펼쳐진 극지방의 얼음 위.체감온도 영하 60도 속에서도 내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6PMwv2E5_spxKQAeo1k_LGGWosU.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30:00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2 제57화. 태풍과 강풍 대비 공기역학적 건축 디자인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11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57화.&nbsp;태풍과 강풍 대비 공기역학적 건축 디자인 &ndash; 바람을 이기는 집 새벽 3시.기상센터는 태풍 '바일런트(Violent)'의 상륙을 공식 발표했다.순간최대풍속 72m/s.이 도시에서 태어나 처음 보는 수치였다. 그러나 해안선을 따라 고요히 우뚝 솟아 있는 그 건물은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바람이 분 것이 아니라,<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Q17TVdLErwk-ID0rXm2hCWncKC4.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23:14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1 제56화. 지능형 내진 설계 기법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10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56화.&nbsp;지능형 내진 설계 기법 &ndash; 건축물에 지능을 부여하다 흔들림이 시작되었을 때, 그 건물은 &lsquo;알고&rsquo; 있었다. 기초부터 천장까지 모든 구조체가 즉시 반응했고,&nbsp;진동은 흡수되었으며, 사람들은 그대로 살아남았다. 이것은 과학이 만든 기적이 아닌,&nbsp;**지능형 내진 설계(Intelligent Seismic Design)<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jJZXzzZ7h6jmiqhNEa7mYedjoJY.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16:19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10 제55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생존 건축 - 종말과 재난에 대비한 건축-생존학개론 /@@3xR/3309 9부: 생존 건축의 세부 기술과 응용 제55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생존 건축 &ndash; 기술은 생존의 또 다른 이름이다 인류는 자연을 두려워하며 건축을 만들었고, 이제는 기술을 무기 삼아 자연을 마주한다.재난은 원초적이지만, 대응은 첨단이어야 한다.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생존 건축, 그 혁신적 진화가 지금 시작된다. ◆ 스마트 생존 건축이란? 재난 상황에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3xR%2Fimage%2FAJhhxDxdAj7dhmhzR3XsyiG2eMc.JPG" width="500" /> Thu, 17 Apr 2025 06:10:56 GMT 이동혁 건축가 /@@3xR/3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