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팀장 /@@2hmJ 커리어 플랫폼에서 신사업 및 운영 조직 리더로 일하고 있습니다. 평범함 경험이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글로 돌아보고 축적해가는 중 입니다. #리더십 #경험 #축적 ko Tue, 22 Apr 2025 02:52:51 GMT Kakao Brunch 커리어 플랫폼에서 신사업 및 운영 조직 리더로 일하고 있습니다. 평범함 경험이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글로 돌아보고 축적해가는 중 입니다. #리더십 #경험 #축적 //img1.daumcdn.net/thumb/C100x10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rHPW8o_p9SL-f-uowrztXm-v798.PNG /@@2hmJ 100 100 [서평] 애덤 그랜트, 히든 포텐셜 /@@2hmJ/179 왜 같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도 어떤 사람은 탁월한 성과를 내고 어떤 사람은 평범에 머무를까? 개인적으로 애덤 그랜트 작가의 책은 본질을 찾는 연구와 분석을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무척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처음 읽었던 &lt;오리지널스&gt;가&nbsp;세상에 변화를 만들었던 리더들의 본질적인 사고와 접근을 다루었다면 &lt;히든 포텐셜&gt;은 뛰어난 성과의 근원이 잠재력의 발현에 Thu, 17 Apr 2025 23:02:13 GMT 보통 팀장 /@@2hmJ/179 지속 가능한 리더십의 핵심, 에너지 관리 /@@2hmJ/178 평소 에너지 관리를 어떻게 하시나요? 리더의 역할을 보다 잘하기 위한 한 가지는 리더 스스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것입니다.&nbsp;조직과 구성원이 성장하고 성과를 내고 있더라도 리더가 지치고 소진된 상태라면 지속성을 가지기 어렵고, 반대로 조직과 구성원이 지치고 어려운 환경이라면 리더의 에너지는 이러한 기간을 버티고 돌파할 수 있는 힘이 되어 줍니다. 처음 리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KL4ZnRTJ_iu0em0HI99SwIapx7A.jfif" width="500" /> Tue, 15 Apr 2025 23:00:13 GMT 보통 팀장 /@@2hmJ/178 리더의 자기 인식과 균형 찾기 - Part 3. 리더의 성장과 자기 관리 /@@2hmJ/176 팀장님은 리더로서 균형을 어떻게 잡아가시나요? 리더십의 많은 포커싱이 구성원 관리와 성과 창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저 또한 리더로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또한 성과와 성장이기도 합니다. 하지만&nbsp;성과와 성장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관점이 있습니다. 바로 리더 자신에 대한 이해와 관리입니다. 리더로서 다른 사람을 이끌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제대<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2gs7pKvTJ0h5WzbTSqvv2CT0j-E.jfif" width="500" /> Tue, 08 Apr 2025 23:00:09 GMT 보통 팀장 /@@2hmJ/176 [서평] 무엇이 성과를 만드는가 /@@2hmJ/177 &quot;무엇이 성과를 만드는가&quot; 이 책은 평소 성과와 성장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는 나에게 기존의 생각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책이었다. 단순한 성과 창출 방법론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임팩트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 패턴을 다룸으로써 보다 본질적인 성과와 성장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책의 저자는 성과를 만드는 핵심은 Tue, 08 Apr 2025 01:04:14 GMT 보통 팀장 /@@2hmJ/177 구성원의 동기부여와 역량 개발 - Part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75 구성원의 동기부여와 역량 개발을 어떻게 연결하시나요? 리더가 고민해야 할 사람에 대한 원칙과 기준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구성원에 대한 리더의 책임은 구성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가에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동기부여'라고 말합니다. 동기부여는 '단순히 열심히 일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wFvKk4ki3eFWFSwjlTwrbzGVt10.jfif" width="500" /> Tue, 01 Apr 2025 23:00:09 GMT 보통 팀장 /@@2hmJ/175 리더가 지켜야 할 사람에 대한 원칙 - Part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74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건강한 문화를 이야기할 때 빼놓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조직을 이루는 사람의 중요성입니다. 때로는 동기부여를 위한 격려와 칭찬이 필요하기도 하고, 어떤 때에는 개선을 위한 직접적인 피드백이 필요하기도 하죠.&nbsp;그 과정에서 리더는 모든 구성원이 조직의 성장 여정에 함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불편함을 마주하게 됩니다. 리더로서 어려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FephxZW0OHi9k3fYzR-w3ycJmUs.jfif" width="500" /> Wed, 26 Mar 2025 03:42:39 GMT 보통 팀장 /@@2hmJ/174 구성원과 커뮤니케이션 시 고려사항 - Part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72 팀원들과 평소&nbsp;어떻게 대화하시나요? 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리더에게 많은 의미와 중요도를 가집니다. 조직의 목표 달성과 조직의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구성원과의 효과적인 소통이 중요하기 때문이죠. 구성원으로 그리고 리더로 일을 하며 느꼈던 중요한 기준 또한 구성원과의 신뢰 관계 형성과 업무 효율의 핵심은 모두 '소통'에 있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단<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uUMAHqxYRr-CpQ8eDkHS6hXi2k8.jfif" width="500" /> Tue, 18 Mar 2025 23:00:03 GMT 보통 팀장 /@@2hmJ/172 리더가 생각하는 시니어와 주니어 - Part 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71 시니어와 주니어를 어떻게 구분하시나요? 조직의 성과,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역량과 태도를 어떻게 바라보고 각 구성원에게 어떤 기대와 책임을 부여할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시니어와 주니어를 구분하는 것은 단순히 경력의 차이를 넘어 조직 내 기대하는 역할과 책임, 성장 방향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필요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0Bg6C55iM7qbMH8_8iqC_oMOhlo.jpg" width="500" /> Tue, 11 Mar 2025 23:00:01 GMT 보통 팀장 /@@2hmJ/171 일 잘하는 구성원의 특징 - Part 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70 일 잘하는 동료의 특징이 있을까요? 지난 13년간 다양한 조직에서 일하며 수많은 구성원과 협업하는 과정에서 '일을 잘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는 구성원이 가진 특징은 명확했던 것 같습니다. 단순히 업무 처리 속도가 빠르거나 결과물의 퀄리티가 높은 사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함께 일할 때 업무의 흐름이 부드러워지고 조직 전체의 성과와 분위기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bxWFZH3Y0x5SRzOTQLj3TbbnBFY.jpg" width="500" /> Tue, 04 Mar 2025 23:00:02 GMT 보통 팀장 /@@2hmJ/170 리더가 신뢰하는 구성원 - Part 2. 구성원의 성장과 관리 /@@2hmJ/169 팀장님은 어떤 구성원을 신뢰하시나요? 우선 신뢰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신뢰는 상호 증명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지난 기간 많은 구성원과 함께 일을 했지만 처음부터 신뢰 관계가 형성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시간이 필요했고 그 시간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맞춰가는 과정이 수반되었죠. 신뢰를 만드는 요소를 정의한다면 저는 '행동<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MyyrEhaq5_T4PA0vkd2D9NxnRLc.jfif" width="500" /> Tue, 25 Feb 2025 23:00:02 GMT 보통 팀장 /@@2hmJ/169 리더도 실수를 많이 하나요 - Part 1. 리더의 일상과 역할 /@@2hmJ/167 팀장님도 실수를 많이 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리더는 실수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담은 실수를 숨기거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행동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저 또한 실수에 대한 부담이 초기에 많았습니다. 나의 실수가 구성원과 또 경영진의 신뢰에 영향을 주고 리더로서의 평가가 나빠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많았죠. 지금은 실수에 대한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ZRLUwPCw3vvtbWeJlGz_wf2wqIA.jfif" width="500" /> Tue, 18 Feb 2025 23:00:01 GMT 보통 팀장 /@@2hmJ/167 처음 리더가 되면 겪는 어려움 - Part 1. 리더의 일상과 역할 /@@2hmJ/166 처음 리더가 되어 겪었던 어려움은 무엇이 있었나요? 리더가 된다는 것은 직책의 변화 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관점과 책임의 전환이 더 적합한 변화라고 봅니다. 실무자로서 성과를 내던 때와는 전혀 다른 역할과 책임이 주어지는 만큼 더 많은 고민 또한 필요합니다. 실무자로서 일을 잘하는 것과 리더로서 조직을 이끄는 것은 전혀 다른 영역이기 때문이죠.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5WsPbB8vxDCXag5xjX22c4LDY_4.jpg" width="500" /> Tue, 11 Feb 2025 23:00:02 GMT 보통 팀장 /@@2hmJ/166 채용 시장에서 바라본 대잔류 시대 /@@2hmJ/168 얼마 전 대잔류 시대(Big Stay)라는 단어를 처음&nbsp;접했다. 대이직 시대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채용 시장의 침체와 경제 불황 등 커리어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현재 회사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는 현상을 의미하는데,&nbsp;대이직 시대가 '기회'로서 모두에게 열려 있던 시기가 끝났다는 2023년 내 글을 다시 읽으면서 현재의 상황이 결과론적인 모습이 아닐까 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Qt8omDzzef4W9UQPGbT2YGEzxmE.jfif" width="500" /> Mon, 10 Feb 2025 22:59:50 GMT 보통 팀장 /@@2hmJ/168 리더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 Part 1. 리더의 일상과 역할 /@@2hmJ/165 팀장님이 생각하는 리더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quot;리더의 역할이 무엇인가요?&quot;에 대한 답변은 리더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nbsp;생각해 보면 조직의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 구성원의 성장을 돕는 것, 조직 문화를 만드는 것 등 다양한 역할이 있을 거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nbsp;리더로서 추구해야 하는 기본은&nbsp;&nbsp;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wgBPMZcENHs1dJNdbn5bLs8N_xU.jpg" width="500" /> Tue, 04 Feb 2025 23:00:00 GMT 보통 팀장 /@@2hmJ/165 리더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나요 - Part 1. 리더의 일상과 역할 /@@2hmJ/164 팀장님은 하루를 어떻게 보내세요? 저는 평소 이른 아침을 선호합니다. 리더라서가 아닌 제 개인적인 스타일이죠. 조용한 시간에 혼자만의 공간에서 생각을 정리하고 일을 시작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이어온 이 습관은 업무를 하는 데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출근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은 하루를 계획하는 것입니다. 전날 밀린 메일이나 메<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hsXG43osZwrvQLWnfREx8ec5TZ8.jpg" width="500" /> Tue, 28 Jan 2025 23:00:01 GMT 보통 팀장 /@@2hmJ/164 프롤로그, 팀장은 처음이라서 /@@2hmJ/163 4년 전 처음 리더가 되었을 때가 생각납니다. 8년간의 사업, 전략 담당자로서 업무 경험을 가지고 리더가 되었지만 리더로서의 처음은 막막했습니다. 실무자로서의 성과와 리더로서의 역할은 분명 다른 영역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완전히 준비되지 않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돌이켜보면 팀원으로 일할 때부터 저는 늘 우리 팀과 조직을 바라보았습니다. 단순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aGX47spktiaUF3b9mH9_FbCHURY.jpg" width="500" /> Tue, 21 Jan 2025 23:00:03 GMT 보통 팀장 /@@2hmJ/163 구성원과의 두 번째 이별 - 함께 성장했던 시간에 대하여 /@@2hmJ/162 현재&nbsp;회사에서 조직을 담당하고 지난주&nbsp;구성원과의 이별의 순간을 두 번째로 맞이하였다. 늘 여러 복잡한 감정이 교차하지만 이번 작별은 타 팀에서 우리 팀으로 전환 후 적응하고 기여했던 열정적인 동료였기에 더 마음이 복잡했다. 처음 팀에 합류 후 팀이 추구하는 일 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가 생각난다. 직전까지 주로 스타트업에서 빠른 실행을 중심으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9BV9uHSpBs_Afqfg_aYq_WI89fg.jpg" width="500" /> Sun, 12 Jan 2025 22:58:42 GMT 보통 팀장 /@@2hmJ/162 직무 이해가 취업, 이직의 시작이다 /@@2hmJ/161 최근 한 주니어 직장인과의 멘토링이 기억에 남는다. 서비스업에서 일하다 사업기획이나 PM으로의 전환을 고민하는 분이었는데 대화를 나누다 보니 본인이 희망하는 직무가 실제 현업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이는 비단 이 분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다수의&nbsp;멘토링을 진행하면서 느낀 가장 큰 아쉬움도 바로 '직무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기 때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2hmJ%2Fimage%2F8Nu2pJ1Y6xd6oePAakZIC2Jdpec.jpg" width="500" /> Mon, 06 Jan 2025 22:33:38 GMT 보통 팀장 /@@2hmJ/161 글쓰기로 시작하는 25년 성장 계획 - [뉴닉 협업 콘텐츠] 연말 커리어 회고 이렇게 시작하면 어떨까 (3) /@@2hmJ/160 이 콘텐츠는 뉴뉴컵 시즌 1 수상으로 뉴닉과 협업으로 제작되었습니다. https://newneek.co/@newneek/article/15680 경력기술서 업데이트를 통해 업무적인 나의 성과를 정리하고 피어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았다면 이제 새로운 해의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커리어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nbsp;성장은 업무 과정에서 개선 Thu, 02 Jan 2025 22:45:48 GMT 보통 팀장 /@@2hmJ/160 연말 회고 방법 - Peer Feedback 요청하기 - [뉴닉 협업 콘텐츠] 연말 커리어 회고 이렇게 시작하면 어떨까 (2) /@@2hmJ/159 이 콘텐츠는 뉴뉴컵 시즌 1 수상으로 뉴닉과 협업으로 제작되었습니다. https://newneek.co/@newneek/article/15679 지난 글에서 온전히 스스로의 한 해를 돌아보며 경력기술서를 업데이트하는 것에 대해서&nbsp;경험과 생각을 정리했다면 이번에는&nbsp;주변의 피드백을 통해 나를 돌아보는 방법에 관한 생각을 이야기해보려 한다. ​ 보통 많은 조직 Mon, 30 Dec 2024 22:15:07 GMT 보통 팀장 /@@2hmJ/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