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19VB 기획, 데이터, 커리어, 기업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Peter입니다. 10여년간 일하면서 느끼고 있는 것을 글로 쓰고 있습니다. 더 창의적이고 싶습니다. ko Mon, 21 Apr 2025 17:02:50 GMT Kakao Brunch 기획, 데이터, 커리어, 기업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Peter입니다. 10여년간 일하면서 느끼고 있는 것을 글로 쓰고 있습니다. 더 창의적이고 싶습니다. //img1.daumcdn.net/thumb/C100x10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guest%2Fimage%2FZGe0E-zwa0Gh-Pw6WD9IKv-5AhE.png /@@19VB 100 100 구분과 단계 - 전략 수립의 어려움에서 벗어나는 첫 단계 /@@19VB/555 기획을 많이 해 보지 않은 분들에게 기획안을 작성하자고 하면 막막함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오퍼레이팅, 하나의 기능으로 일을 한 분들은 연차가 많아지면서 필연적으로 기획을 해야 하는 역할을 요구받게 되고 이때 새로운 방향과 일정 등을 기획안으로 준비해야 하죠. 어려운 것, 비용과 편익을 분석해서 정량적인 목표와 사업성 분석까지 가지 않더라도 시장 현황이 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zF7oAHRQBC0l_bifRXMPN_UlWzk.PNG" width="500" /> Fri, 11 Apr 2025 02:38:45 GMT Peter /@@19VB/555 가격 전략의 전제 - 가격은 결과인가, 원인인가 /@@19VB/554 일반적으로 좋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라면 낮은 가격을 전략으로 시장의 빈틈을 파고듭니다. 어느 시장이나 더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수요는 늘 있으니까요. 꼭 어떤 수준 이상의 품질이 있지 않아도 필수적인 수준만 된다면 더 낮은 가격을 통해 이용하는 것에 선호를 가지는 고객은 많습니다. 혹은 품질이 비슷한 상황이라고 해도 후발 주자는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cff5J5piTCv6q-qVMy_S4JXH65Y.JPG" width="500" /> Sat, 22 Mar 2025 02:25:40 GMT Peter /@@19VB/554 이직 전략에 대한 제 이야기 - Publy에 콘텐츠로 만들었습니다 /@@19VB/553 안녕하세요! 최근 계속 회사 업무가 많아 자주 브런치에 글을 올리지 못했었는데요. 그동안 여러 차례 함께 작업했던 Publy에서 새로운 콘텐츠 제작을 제안 주셔서 아무리 바빠도 이 제안은 거절할 수 없어서 지난 몇 주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quot;직무를 바꿀까, 산업을 바꿀까?&quot; 나를 경쟁력 있게 만드는 5단계 이직 전략 이라는 제목으로 'Peter'가 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U0lrSP5PAVzdpit59Jih20J6bKU.jpg" width="500" /> Sat, 08 Mar 2025 04:05:02 GMT Peter /@@19VB/553 엑셀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분석가의 준비 - 미리 준비해 두면 야근이 줄어든다 /@@19VB/552 분석가는 쿼리 머신이 아닙니다. 그렇게 되면 분석가 자신도 회사도 모두 힘들어집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분석가는 쿼리 머신처럼 부려집니다. 퇴근을 해도 갑자기 무슨 데이터를 뽑아 달라고 합니다. 휴가를 썼는데도 급히 연락이 와서 내일 보고할 무언가를 뽑아 달라고 합니다. 간단한 것이라도 짜증 나지만 복잡한 것도 있습니다. 오늘 할 이야기는 간단한 쪽 이야기입<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LODsIn0SjZQys_uzsj6TgBzf5rQ.jpg" width="500" /> Sun, 09 Feb 2025 23:00:06 GMT Peter /@@19VB/552 실험에는 비용이 필요하다 - 비용 손실을 두려워해서는 앞으로 나갈 수 없다 /@@19VB/551 회사에는 여러 실험들이 있습니다. 실험은 무언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정리해서 한 발 더 앞으로 나가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실험은 어떤 결과를 바라는 부분이고 그것을 위해 일정 부분의 손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하고 당연한 말은 현실 세계로 오면 그렇게 쉽게 작동되지 않습니다. 손실이 전혀 없는 실험 비슷한 설계를 해서 정확한 효과를 측정하지 못하<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cUc5wPajZWzDTneXy7aL3wfPkdo.jpg" width="500" /> Sat, 08 Feb 2025 01:53:33 GMT Peter /@@19VB/551 전제가 중요하다 - 늘 하던 일을 기획적으로 바꾸는 방법 /@@19VB/549 저는 기획적인 일인지 기획이 없는 일인지가 커리어 성장의 큰 갈림길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늘 하던 일을 하던 대로 하던 사람은 늘 거기 있는, 돌려 말하면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 되곤 합니다. 늘 하던 일이 중요하냐 아니냐를 떠나서 사람은 뉴스를 찾고 도파민이 터지는 일에 더 관심을 갖게 됩니다. 새로운 일을 잘 광고하면서 벌이는 사람이 회사에서<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nukbdJqTDx-f46zIwYefDTJYTkE.jpg" width="500" /> Sat, 04 Jan 2025 13:42:38 GMT Peter /@@19VB/549 스스로와 적당히 멀어진다는 것 - 성장과 강점 그리고 파괴 /@@19VB/548 라이다 센서를 만드는 회사는 아래 기사가 설렐 겁니다. 라이다 센서를 줄이고 카메라 중심으로 자율 주행을 고도화한다는 테슬라가 다시 라이다 센서를 사용하면서 자율 주행의 미래에 아직 우리 회사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까요. 가장 크고 중요한 수요의 바로미터가 되는 테슬라의 결정에 희비가 엇갈리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회사를 옮기면서 기존 회사에서 사용<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gq4wtdpyhLDoD6R2MuJVzRN73Pk.jpg" width="500" /> Sat, 14 Dec 2024 06:44:24 GMT Peter /@@19VB/548 회사의 미래 : 부채와 성장 - 결국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앞으로의 분위기다 /@@19VB/547 좋은 회사, 오래 다닐 회사에 대한 논의는 예전부터 계속되어 왔습니다.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나 어느덧 오랜 기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저나 사람들은 어떤 회사가 다니기 좋은 회사인지 탐색합니다. 약 15년 내외의 사회생활을 하면서 저는 회사의 미래와 분위기는 '부채와 성장 전망의 밸런스'에 있다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리게 되었습니다. 과거의 화려함이나 탄탄한 안<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H_RAYmXrL4kVoe-fb7tAWheaRPg.jpg" width="500" /> Sat, 23 Nov 2024 07:05:35 GMT Peter /@@19VB/547 멤버십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 증발하는 마케팅 비용으로 차별화 하기 /@@19VB/545 구독 경제 이전에 이미 멤버십이 있었습니다. 무료 멤버십이죠. 과거 백화점에는 포인트를 쌓을 수 있는 멤버십이 있었고, 동네 슈퍼마켓 중에서도 결제 금액의 일정 비중을 포인트로 쌓을 수 있었습니다. 이런 멤버십은 사실상 유예된 할인 효과를 만들면서 고객을 lock-in 하게 만드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멤버십을 유지하는 것이 고객을 계속 이 서비스만<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rllEeIH0URzFS_FU9EJFG1udRx4.JPG" width="500" /> Sun, 13 Oct 2024 11:01:14 GMT Peter /@@19VB/545 야근할 일이 아닌데 야근을 하는 이유 -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이유 /@@19VB/544 사실 회사에서 하는 대부분의 일들은 감당하지 못할 만큼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한다거나 몸을 갈아 넣으면서 할 만큼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실무자들에게 주도권이 충분히 주어질 경우에 말이죠. 하지만 많은 시간 일을 하게 되면서, 그게 상습적이 되면서, 지쳐 버린 상태에서 왜 이렇게까지 되었는지 원인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에 종종 빠지고는 합니다. 저도 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3x0toqfj7DKwte0_BiMEC_05xww.jpg" width="500" /> Sun, 29 Sep 2024 07:12:11 GMT Peter /@@19VB/544 즐거운 강의를 다녀왔습니다 - 기획자가 일 잘하는 법 /@@19VB/543 오늘 서울특별시 도서관에서 기획을 하시는 분을 대상으로 강의를 다녀왔습니다. 지난 3월 정도에 제안을 주셔서 고민을 하다가 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 중 한 명으로 강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몇 달간 이 시간을 위해 고민하느라 마음의 무게가 적지 않게 있었는데요. 심지어 어젯밤에는 나름 악몽도 꾸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강의는 참여하신 분들의 열의와 질문<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eTmZw6uelhQODdp6eDcyU89ByX8.jpg" width="500" /> Thu, 12 Sep 2024 11:09:36 GMT Peter /@@19VB/543 2개 이상이면 포지셔닝 맵 - 미리 복잡해지지 않도록 /@@19VB/542 패션 회사에서 브랜드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브랜드를 하나 더 만듭니다. 그 사이 무슨 기획이 있었을까요? 반드시 포지셔닝 맵을 그려 놓았을 것입니다. 그게 가격, 연령, 트렌디함 등 시장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따라서 니치 마켓을 공략하기 위해 포지셔닝 맵을 그렸을 것입니다. 두 개 이상의 기준에서 첫 브랜드와 다음 브랜드는 무엇이 달라야 하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z3ioPIgr6x0FQFDzfPx9Ea62b4Q.jpg" width="500" /> Thu, 29 Aug 2024 13:37:30 GMT Peter /@@19VB/542 기획전을 만들 때 유의할 것들 - 고객은 기획전에서 어떻게 주문하는가 /@@19VB/541 많은 커머스, 플랫폼에서 기획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비스에 들어가면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배너 등을 만들어 두고 지금 가장 많이 준비한 기획전을 고객에게 제시합니다. MD이든 제휴 기획자이든 기획한 실력이 고객의 선택을 받고 전체 주문 성과를 기획전으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기획전을 구성할 때 어떤 것을 유의하면 더 높은 성과를 만들지 정리해 보았습니다<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YXp87esS4bwm9gzVnefEow3ymxo.JPG" width="500" /> Tue, 16 Jul 2024 05:50:41 GMT Peter /@@19VB/541 예외 사항을 기획으로 만들기 - 사소한 시작에서 큰 판은 만들어진다 /@@19VB/540 이슈와 대응으로 만들어지는 업무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 모든 기획을 연역적으로 사전에 설계할 수 없습니다. 생각하지 않았던 이슈가 생기고 이것을 대응하면서 기획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많죠. 작은 규모의 플랫폼 업체가 처음으로 누구나 알만한 대형 브랜드를 입점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합시다. 오랫동안 공들인 이 브랜드의 입점을 방문 고객들에게 많이 알리고 싶고<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lM3cv9sAe87HyfU9nVk12LIrNV4.jpg" width="500" /> Sun, 07 Jul 2024 08:53:31 GMT Peter /@@19VB/540 새로운 치킨 메뉴는 왜 그렇게 자주 나올까 - 신규 고객 확보는 왜 중요한가 /@@19VB/531 왜 비싼 IP로 신제품을 만들까 작년에 많은 피자 브랜드에서 포켓몬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피카츄 얼굴 모양의 피자부터 몬스터볼 모양의 디테일이 있는 피자까지. 굳이 로열티를 더 지불해야 하는 포켓몬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이유는 피자를 먹는 고객이 주로 어린이들이 많아서 더 많은 매출을 유발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더 많은 매출, 즉 기<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ahjzxTu2B4AJiBuVS9p8w-JstYY.jpg" width="500" /> Sat, 15 Jun 2024 14:48:15 GMT Peter /@@19VB/531 예외, 수기, 과다 - 최악의 직장 상사가 일하는 법 /@@19VB/539 제가 만난 실무는 잘하지만 리더가 되어 조직을 파괴하는 분을 생각해 본다면 몇 가지 단어가 떠오릅니다. 예외, 수기, 과다죠. 여러 사람이 모여 조직으로 시너지를 내고 역량을 보고 뽑은 사람을 잘 활용해 성과를 내는 것과 정 반대로 가고 싶다면 예외, 수기, 과다를 생각하면 됩니다. 예외 하나의 예외를 만들면 더 많은 일들이 태어납니다. 마치 재고가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CNo9DNgYJlXiXtyWOkwgxzhl8Xc.JPG" width="500" /> Fri, 24 May 2024 02:19:37 GMT Peter /@@19VB/539 동료들의 장점을 어떻게 극대화시킬 것인가 - 좋은 팀장, 좋은 동료로 직장 생활하기 /@@19VB/448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는 김성근 감독은 선수들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선수든 장점을 갖고 있고 약점을 보완하는 것에 집중하기보다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이 선수 관리의 스타일로 알려져 있죠. 손흥민 선수의 장점은 빠른 주력과 마무리 능력이란 것을 다 알고 있습니다. 한 때 수비에 집중하는 전술로 손흥민 선수의 장점을 살리지 못할 때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Da7YJEUIKXEg_OkkP6ckTVaKqqw.jpg" width="500" /> Wed, 15 May 2024 06:03:51 GMT Peter /@@19VB/448 대시보드 관리가 어려운 이유 - 데이터 수요자의 변화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9VB/537 분석가분들의 이력서를 받으면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프로젝트 중 하나가 대시보드 구축입니다. 매출과 관련된 대시보드를 구축하거나 고객 지표를 볼 수 있게 설계하고 관리하는 등 전에 각자가 다른 기준으로 보던 지표를 하나로 맞추고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드는 대시보드는 조직이 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할 때 가장 처음 하는 단계 중 하나입니다. 흔히 주니어 분<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SxPUcOvfD96NkPMWT1abtTQAcss.JPG" width="500" /> Fri, 26 Apr 2024 06:01:59 GMT Peter /@@19VB/537 일의 납기는 생각보다 중요하다 - 바라는 기업 문화만큼 바라는 일하기 /@@19VB/536 계약을 맺고 다른 회사에 일을 하는 직업을 가진 분들은 늘 일의 기한, 납기에 대해 신경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명시적으로 언제까지 무슨 일을 완료해야 하는 계약이 있으니 신경 쓰일 수밖에 없죠. 하지만 인하우스(In-house)에서 업무를 하는 대부분의 분들은 납기 일자가 명시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개발을 하거나 프로젝트를 한다면 그래도 WBS를 <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jpg/?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U2GIgLa5XQ-OwnKGpT49jdyZCuE.JPG" width="500" /> Tue, 09 Apr 2024 23:33:17 GMT Peter /@@19VB/536 면접관이 당신에게 바라는 것 - 면접을 두려워하거나 긴장할 필요가 없는 이유 /@@19VB/535 본의 아니게 최근 몇 달간 무수한 면접에 면접관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가부터 사업 기획, 마케팅 관련 직무까지 여러 분야의 면접관으로 참여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저도 이렇게 많은 면접을 짧은 기간 본 적이 없어 피로하고 어렵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곧 면접의 목적과 패턴을 이해하면서 보다 수월하고 명확하게 면접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면<img src=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3A%2F%2Ft1.daumcdn.net%2Fbrunch%2Fservice%2Fuser%2F19VB%2Fimage%2Fyv-q2xl_q2VxsPNdA2j1q34Rf-w.jpg" width="500" /> Sat, 23 Mar 2024 07:05:43 GMT Peter /@@19VB/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