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주원 Aug 07. 2021

[카지노 게임-011] Intro.

카지노 게임 <더 테이블

카지노 게임




'기만'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일단은 부정적인 느낌들이 주를 이룰 것 같습니다.

우리 국어사전에 등재된'기만'이라는 단어의 뜻인

'남을 속여 넘김'이라는 말에서도 충분히 드러나죠.


그런데 살다 보면,

우리의 일상은

생각보다'기만'과 밀접한

관계 속에 놓여있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사람들은 누군가의 시선을 느낄 때,

으레 그 행동이 부자연스러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누군가의 눈에 비친 내 모습에

매우 예민하기 때문이죠.


그것이 꼭 눈이 보이는 것에만 관심을 쏟는

허세, 허영과 관련된 것만은 아닙니다.

사회적인 본능을 가진 인간이라면

누구나어느 정도

타인 속의 '나'의 모습에 대해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고,

그래야우리는 함께 살 수 있을 테니까요.


그렇기에 이 사회에서 우리는

내 안에 내재된 본성과 관계없이

사회 속에서의 '나'의 모습을 자주 속이고 살게 됩니다.

타인을 속이기도 하고, 내 자신을 속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그런 세태가 좋다, 나쁘다의 가치 판단을 하려는 건 아닙니다.


다만,

'기만'은 그렇게 일상 속의 생각보다 많은 순간에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기만'은 어쩌면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숙명같은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현대인들에게 지극히 일상적인 장소 중 하나인

'카페' 안에서 펼쳐지는

카지노 게임 '더 테이블'의 네 가지 이야기도

'삶의 필요조건'으로서의 기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과연 카지노 게임 속 인물들은

어떤 방식으로 '기만'과 함께 살아가고 있을까요?


'주간 카지노 게임'이 소개해 드릴 열 한번째 영화,

김종관 감독의 '더 테이블'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