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Oct 25. 2022

Reply 2004, 카지노 게임 떠나온 한국

두유노 코리아 월드컵?

카지노 게임pexles


이민자들을 설명하는 클리셰 같은 표현이 있다. 그분들은 이민 올 당시의 한국을 기억하며 한국이 얼마나 발전하고 변화했는지 모르실 뿐만 아니라 생각을 바꿀 의지도 없다고. 50, 60년 대에 이민오신 이민 1세대 분들은 한국을 떠날 때 전쟁 직후 황폐했던 한국의 모습이 평생의 기억에 남을 수도 있다. 80, 90년 대에 이민오신 분들은 독재정치나 IMF 경제위기 만의 한국밖에 모르실 수도 있다. 그리고 그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한국인의 정을 기억하며 그리워하시거나, 그 당시에 당연했던 사고방식과 평생을 그렇게 해오신 습관들이 굳어지셨을 수도 있겠다.


내가 처음 해외 거주하게 된 년도는 2004년. 그 후로 한국과 해외를 왔다 갔다 했다. 나는 왜 한국에서 더 오래 살았는데도 양쪽 다 적응 못하고 갈팡질팡 하고 있을까? 내가 이곳에 적응하길 거부하는 건가? 나는 왜 한국에서 제대로 적응하지도 못했으면서 왜 이렇게 한국을 그리워할까? 한참 고민했었다. 그.런.데... 내가 딱 그런 상태였던 것을 이 날 깨달았다!!! 나는 2000년 대 초반의 한국을 그리워하며 계속 그런 세기말 + 밀레니얼 감성을 찾아 헤맸던 것 같다. 그 당시 유행했던 노래들, 패션, 시트콤, 그리고 농담까지. 아니 대체 왜 20년이나 지난 지금?!?! 내가 가장 왈가닥이고 제멋대로고 그래서 나름 행복했던 그때의 한국에 빠져서 아직도 상황 파악 못하는 중인 건가? 나는 벌써 OB 가 되어가는 건가? 내가 늙은이라니...! 고인물이라니! ㅠㅠ


사실 한국에 가서 몇 안 되는 친구들을 만나더라도 나는 겉도는 느낌을 계속 지울 수 없었다. 전학을 여러 번 했던 나와는 달리 그 친구들은 이미 같은 동네에서 20년의 세월을 보낸 친구들이다. 동네에 가게가 바뀌고 새로운 건물이 생기고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고 결혼하고 아이가 있는 인생의 큰 변화를 모두 겪은 친구들. 그에 반해 내가 아는 그 동네와 친구들은 2000년에 멈춰있었다. 내가 아는 다른 동네와 친구들은 2003년에 멈춰있었다. 그래서 내가 성인이 되어 다시 만났을 때 수년의 공백에 내가 이질감을 느꼈던 것이다. 그 사람들은, 그 공간들은 그대로였는데... 내가 잘못 느꼈던 것이다!


나의 기억에는 그 친구들과 내가 함께한 그 옛날 밖에 없었다. 물론 서로 소식을 전하고 안부인사를 하지만, 심지어 단톡방에서 매일 대화했던 친구들도 오랫동안 못 보니 실물로 만났을 때 약간의 어색함이 느껴졌다. 내 기억 속의 그 사람과 실제 그 사람과 분명 다른데. 그리고 나는 분명 실제 그 사람을 사랑하고 응원하고 존중하는데. 왜 아련한 기억 속의 그 모습이 그리울까? 그 친구도 많이 변했구나 하는 느낌에 뭔가 상실감이 들기도 한다. 사실 나도 많이 변하고 나의 취향도 선호도도 생각도 감정도 많이 변했다. 분명히 나는 매일 변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대체 왜 그랬을까?







<남편이 미워질 때 보는 책

<외국인 남편 덕분에 배운 자존감 대화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