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과 긍정
대부분의 사람은 우울증이 부정적인 감정이 과도하게 많은 상태라고 생각한다. 물론 우울증이 찾아오면 우울감과 죄책감처럼 부정적인 감정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우울증의 정신병리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울증의 핵심은 과도한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무료 카지노 게임인 감정의 결여다. 임상적인 진단 기준만 봐도 알 수 있다. 흥미 저하, 의욕 저하, 활동 저하, 낮은 자존감, 식욕 저하—이러한 증상은 모두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무언가가 없는 상태에 해당한다. 긍정의 결핍인 것이다.
임상심리학 학술지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Science의 2023년 8월호에 우울증의 맥락에서 긍정을 다룬 흥미로운 연구가 소개된 적이 있다. 바로 ‘긍정을 피하려는 선택? 우울증에서 나타나는 감정조절 전략(Choosing to A the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hoice in Depression)’이라는 제목의 논문이다. 연구진은 주요 우울 장애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 간에 무료 카지노 게임인 자극을 처리하는 전략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두 편의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이루어진 첫 번째 연구에는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38명과 대조군 39명이 참가했다. 연구진은 참가자에게 즐거운 기억과 불쾌한 기억을 떠올리도록 지시했다. 이후 해당 기억의 감정에 집중하는 반추(rumination) 또는 해당 기억에서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는 주의분산(distraction) 중 한 가지 감정조절 전략을 선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불쾌한 기억을 떠올릴 때는 두 그룹 모두 주의분산 전략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선택의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즐겁고 무료 카지노 게임인 기억을 떠올릴 때는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은 약 70%에 가까운 참가자가 기억이 유발하는 감정에 몰입하는 무료 카지노 게임 반추를 선택했지만, 환자군은 과반수가 넘는 참가자가 주의분산을 선택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연구진이 ‘스스로 기분이 나아질 수 있는 전략을 선택하라’는 지시를 내렸을 때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 역시 대조군과 유사하게 무료 카지노 게임 반추를 선택했다는 결과다. 우울한 사람도 어떤 전략이 기분을 낫게 만드는지 알고는 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그 전략을 선뜻 선택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두 번째는 실험실 환경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감정조절 방식을 추적하는 연구로, 각각 60명가량의 우울증 그룹과 대조군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는 열흘 동안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설문에 응답했는데, 무료 카지노 게임 또는 부정적 자극을 인식했을 때 반추 및 주의분산 전략을 사용하는 빈도를 측정하고자 했다.
우울한 사람은 앞선 연구와 비슷하게 일상에서도 무료 카지노 게임인 감정을 유지하기보다 오히려 주의를 돌리려는 경향이 컸다. 우울 그룹은 무료 카지노 게임인 감정을 느끼려는 동기 자체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막상 무료 카지노 게임 감정을 마주하게 되면 무료 카지노 게임 반추를 자주 사용하는 대조군과 반대로 주의분산 전략을 더욱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자극을 인식한 경우, 우울한 사람은 부정적인 감정을 곱씹는 반추 성향이 더욱 강했다. 이는 앞선 실험과는 다소 차이가 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결국 우울한 사람도 무료 카지노 게임인 자극을 원하며 무료 카지노 게임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감정조절 전략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기는 하나, 실상에서는 그게 당연하고 자연스럽게 잘 안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훈은 우울증 치료의 핵심 방향을 제시한다. 바로 우울증 치료는 부정적인 감정을 지속하는 인지 패턴을 수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무료 카지노 게임인 감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 또한 함께 다루는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무료 카지노 게임인 자극을 불편하게 느끼거나 외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습관이 들 수 있도록 말이다.
그렇다면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이란 무엇일까? 디스턴싱의 관점에서 보면 역시나 사소한 성취감/행복감에 주의를 두기로 하면서, 점차 그 주의를 나의 ‘가치’에 옮기며, 내가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들을 하나의 심리적 사건으로 바라보고, 기꺼이 경험하기로, 즉, 수용하기로 한 채, 다시 나의 주의를 나의 가치, 내가 원하는 삶에 옮겨두며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고 발전시켜나가는 것. 이것이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을 잘 다루는 궁극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illgram Y, Mizrahi Lakan S, Joormann J, Nahum M, Shimony O, Tamir M. Choosing to avoid the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hoice in depression. J Psychopathol Clin Sci. 2023;132(6):669-680. doi:10.1037/abn0000835
-디스턴싱은 비대면 인지치료 프로그램입니다.
-서울의대 출신 의사 창업자를 비롯하여 많은 의사, 상담사 선생님께서 참여하였습니다.
-우울, 불안을 주로 다룹니다.
-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우울증, 불안장애 등으로 고생하고 계신 분
꼭 우울, 불안이 아니더라도 심리적인 괴로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
생각이 너무 많고, 그 생각을 매일 곱씹으며 힘들어하고 계신 분
체계적인 심리치료를 원하시는 분
병원, 상담실 밖에서도 일상 중 꾸준히 마음을 관리하고 싶은 분
일상 속에서 당장 상의하고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한 분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찾아 행동 변화를 만들고 싶은 분